COSD 지정 표준 목록
ISO TC12 (양 및 단위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A3009 | 계측용어 |
2 | KSAISO/IECGUIDE99 | 국제 측정학 용어 ― 기본 및 일반 개념과 관련 용어(VIM) |
3 | KSAISO80000-1 | 양 및 단위 ― 제1부: 일반사항 |
4 | KSAISO80000-2 | 양 및 단위 ― 제2부: 수학 |
5 | KSAISO80000-3 | 양 및 단위 ― 제3부: 공간과 시간 |
6 | KSAISO80000-4 | 양 및 단위 ― 제4부: 역학 |
7 | KSAISO80000-5 | 양 및 단위 ― 제5부: 열역학 |
8 | KSAISO80000-7 | 양 및 단위 ― 제7부: 빛과 복사 |
9 | KSAISO80000-9 | 양과 단위 ― 제9부: 물리화학 및 분자물리학 |
10 | KSAISO80000-10 | 양 및 단위 ― 제10부: 원자물리학 및 핵물리학 |
11 | KSAISO80000-11 | 양과 단위 ― 제11부: 특성 수 |
12 | KSAISO80000-12 | 양 및 단위 ― 제12부: 응집물질물리학 |
13 | KSAIEC80000-13 | 양 및 단위 ― 제13부: 정보과학 및 정보기술 |
ISO TC19 (표준수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AISO497 | 표준수 수열 및 더 끝맺음한 표준수 수열의 선택에 관한 지침 |
2 | KSAISO3 | 표준수 ― 표준수 수열 |
3 | KSAISO17 | 표준수 및 표준수 수열 사용 지침 |
ISO TC69 (통계적 기법의 적용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A0083 | 질량 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 방식 통칙 |
2 | KSA0086 | 압력 증가법을 이용한 탈가스 시험 방법 |
3 | KSB0163 | 공업프로세스 계측제어 용어 |
4 | KSQ0001 | 계수 및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 |
5 | KSQ1003 | 랜덤샘플링 방법 |
6 | KSQ5002 | 데이터의 통계적 기술 |
7 | KSQISO/IECGUIDE98-3 | 측정불확도 - 제3부: 측정불확도 표현 지침 |
8 | KSAISO2602 | 시험결과의 통계적 해석 - 평균의 추정 - 신뢰구간 |
9 | KSAISO2854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 방법 - 평균 및 분산의 검정방법과 추정방법 |
10 | KSQISO3301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 ─ 쌍을 이룬 관측치의 두 평균의 비교 |
11 | KSQISO3494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방법 ─ 제4부: 평균 및 분산에 관한 검정방법의 검출력 |
12 | KSQISO3534-1 | 통계 ─ 용어 및 기호 ─ 제1부: 일반 통계 및 확률 용어 |
13 | KSQISO3534-2 | 통계 ― 용어 및 기호 ― 제2부: 응용 통계 |
14 | KSQISO3534-3 | 통계 ― 용어 및 기호 ― 제3부: 실험계획법 |
15 | KSQISO3534-4 | 통계 ― 용어 및 기호 ― 제4부: 조사샘플링 |
16 | KSQISO5479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 ─ 정규성 이탈 검정 |
17 | KSQISO11453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방법 ─ 비율의 검정 및 추정 방법 |
18 | KSQ16269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 |
19 | KSQ16269-6 |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 ─ 제6부: 통계적 허용구간 결정 |
20 | KSQISO28640 | 확률 변량 생성법 |
ISO TC69SC4 (통계적 공정관리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QISO7870-1 | 관리도 ― 제1부: 일반 지침 |
2 | KSQISO7870-2 | 관리도 ― 제2부: 슈하트 관리도 |
3 | KSQISO7870-3 | 관리도 ― 제3부: 합격판정관리도 |
4 | KSQISO7870-4 | 관리도 ― 제4부: 누적합 관리도 |
5 | KSQISO7870-5 | 관리도 ― 제5부: 특수 관리도 |
6 | KSQISO7870-6 | 관리도 ― 제6부: EWMA 관리도 |
7 | KSQISO7870-7 | 관리도 ― 제7부: 다변량 관리도 |
8 | KSQISO7870-8 | 관리도 ― 제8부: 단기 가동 및 소규모 혼합 뱃치에 대한 작성 기법 |
9 | KSQISO7870-9 | 관리도 ― 제9부: 정상성을 갖는 프로세스에 대한 관리도 |
10 | KSQISO11462-1 | 통계적 공정 관리(SPC) 실행 지침 ─ 제1부: SPC의 요소 |
11 | KSQISO11462-2 | 통계적공정관리(SPC) 실행 지침 ─ 제2부: 도구와 기법 목록 |
12 | KSQISOTR11462-3 | 통계적공정관리(SPC) 실행 지침 ― 제3부: SPC 소프트웨어 유효성 검토를 위한 참조데이터 세트 |
13 | KSQISO22514-1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1부: 일반 원리와 개념 |
14 | KSQISO22514-2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2부: 시간종속적 공정 모델의 공정능력과 성능 |
15 | KSQISO22514-3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3부: 개별 부품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기계 성능 연구 |
16 | KSQISO22514-4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 및 성능 ― 제4부: 공정 능력 추정 및 성능 측정 |
17 | KSQISO22514-5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5부: 계수치 특성에 대한 공정능력 추정치 및 성능 |
18 | KSQISO22514-6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6부: 다변량 정규분포에 따른 특성에 대한 공정능력 통계 |
19 | KSQISO22514-7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7부: 측정프로세스의 능력 |
20 | KSQISO22514-8 | 공정관리의 통계적 방법 ― 능력과 성능 ― 제8부: 다단계 생산공정의 기계 성능 |
ISO TC69SC5 (샘플링 방법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QISO2859-1 |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1부: 로트별 합격품질한계(AQL)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 |
2 | KSQISO2859-2 |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2부: 고립로트 한계품질(LQ)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 |
3 | KSQISO2859-3 |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3부: 스킵로트 샘플링검사 절차 |
4 | KSQISO2859-4 |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4부: 선언품질수준의 평가 절차 |
5 | KSQISO2859-5 |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5부: 로트별 합격품질한계(AQL) 지표형 축차 샘플링검사 방식의 시스템 |
6 | KSQISO3951-1 | 계량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1부: 단일 품질특성 및 단일 AQL에 대한 로트별 검사를 위한 합격품질한계(AQL) 지표형 1회 샘플링검사 규격 |
7 | KSQISO3951-2 | 계량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2부: 독립 품질특성의 로트별 검사에 대한 합격품질한계(AQL) 지표형 1회 샘플링검사 규격 |
8 | KSQISO3951-3 | 계량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3부: 로트별 검사를 위한 합격품질한계(AQL) 지표형 2회 샘플링검사 스킴 |
9 | KSQISO3951-4 | 계량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4부: 선언품질수준의 평가 절차 |
10 | KSQISO3951-5 | 계량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5부: 계량형 검사(표준편차 기지)에 대한 합격품질한계(AQL) 지표형 축차 샘플링검사 방식 |
11 | KSQISO/TR8550-1 | 로트의 이산형 아이템 검사를 위한 합격판정 샘플링 시스템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지침 ― 제1부: 합격판정 샘플링 검사 |
12 | KSQISO/TR8550-2 | 로트의 이산형 아이템 검사를 위한 합격판정 샘플링 시스템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지침 ― 제2부: 계수치 샘플링검사 |
13 | KSQISO/TR8550-3 | 로트의 이산형 아이템 검사를 위한 합격판정 샘플링검사 시스템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지침 ― 제3부: 계량치 샘플링검사 |
14 | KSQISO11648-1 | 집합체 샘플링의 통계적 측면 ― 제1부: 일반원칙 |
15 | KSQISO24153 | 랜덤 샘플링 및 랜덤화 절차 |
16 | KSQISO28590 |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― 계수형 샘플링검사용 KS Q ISO 2859 시리즈 표준의 개요 |
17 | KSQISO28591 | 계수형 축차 샘플링검사 방식 |
18 | KSQISO28592 | 생산자위험품질(PRQ) 및 소비자위험품질(CRQ) 지표형 최소 샘플크기 계수형 2회 샘플링검사 방식 |
19 | KSQISO28593 | 계수형 합격판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출검품질 통제를 위한 신용도 원리 기반 합격판정개수 0 샘플링검사 시스템 |
20 | KSQISO28594 | 제품 합격판정을 위하여 합격판정개수 0 샘플링검사 시스템과 프로세스관리를 결합한 절차 |
21 | KSQISO28597 | 계수치 합격판정 샘플링검사 절차 ― 백만 개당 부적합품수로 지정된 품질수준 |
22 | KSQISO28598-1 | 우선권할당원칙(APP)에 의한 합격판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1부: APP 접근법의 가이드라인 |
23 | KSQISO28598-2 | 우선권할당원칙(APP)에 의한 합격판정 샘플링검사 절차 ― 제2부: 계수형 조정된 1회 샘플링검사 방식 |
24 | KSQISO39511 | 부적합률에 대한 계량형 축차 샘플링검사 방식(표준편차 기지) |
ISO TC69SC6 (측정방법과 결과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AISO5725-1 |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(진도 및 정밀도) ― 제1부: 일반적인 원리 및 정의 |
2 | KSAISO5725-2 |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(진도 및 정밀도) ― 제2부: 표준 측정 방법의 반복 정밀도 및 재현 정밀도를 구하기 위한 기본적 방법 |
3 | KSAISO5725-3 |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(진도 및 정밀도) ― 제3부: 표준 측정 방법의 중간 정밀도 |
4 | KSAISO5725-4 |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(진도 및 정밀도) ― 제4부: 표준 측정 방법의 진도를 구하기 위한 기본적 방법 |
5 | KSAISO5725-5 |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(진도 및 정밀도) ― 제5부: 표준 측정 방법의 정밀도를 구하기 위한 대체법 |
6 | KSAISO5725-6 |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(진도 및 정밀도) ― 제6부: 정확도에 관한 값의 실용적 사용 방법 |
7 | KSQISO10576-1 | 통계적 방법 ― 규정요구사항의 적합성 평가 지침 ― 제1부: 일반 원칙 |
8 | KSQISO10725 | 집합체의 합격판정 샘플링검사 방식 및 절차 |
9 | KSQISO11095 | 표준물질을 사용한 선형교정 |
10 | KSQISO11648-2 | 집합체 샘플링의 통계적 측면 ― 제2부: 분체 샘플링 |
11 | KSQISO11843-1 | 탐지능력 ― 제1부: 용어 및 정의 |
12 | KSQISO11843-2 | 탐지능력 ― 제2부: 선형교정의 방법 |
13 | KSQISO11843-3 | 탐지능력 ― 제3부: 교정 데이터 불사용 시 반응변수의 임계치 결정방법 |
14 | KSQISO11843-4 | 탐지능력 ― 제4부: 최소탐지 가능치와 제시치의 비교방법 |
15 | KSQISO11843-5 | 탐지능력 ― 제5부: 선형 및 비선형 교정 방법론 |
16 | KSQISO11843-6 | 검출능력 ─ 제6부: 정규 근사에 따른 포아송분포 측정에서 임계값과 검출가능한 최소값 결정 방법 |
17 | KSQISO11843-7 | 탐지능력 ― 제7부: 장비 잡음의 통계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방법 |
18 | KSQISO13528 | 시험소 간 비교 숙련도 시험용 통계적 방법 |
19 | KSQISO21748 | 측정불확도 추정에서 반복성, 재현성, 진도 추정값 사용에 관한 가이던스 |
20 | KSQISO21749 | 측정학적 응용에 관한 측정불확도 ― 반복측정과 지분실험 |
21 | KSQISO/TR22971 | 측정 방법과 결과의 정밀정확도(정확도와 정밀도) ― ISO 5725-2:1994를 사용해 시험소 간 반복성 및 재현성 결과를 계획, 구현, 통계적 분석하는 실무 지침 |
22 | KSQISO/TR13587 | 측정불확도의 평가 및 해석을 위한 3가지 통계적 접근법 |
23 | KSQISO/TS17503 | 불확도 평가의 통계적 방법 ? 2요인 교차실험 계획법을 활용한 불확도 평가 가이던스 |
ISO TC69SC7 (6 시그마 관련 기술 응용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QISO/TR12888 | 게이지 반복성과 재현성 연구 사례 |
ISO TC69SC8 (신기술 및 제품 개발을위한 통계 및 관련 방법론의 적용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QISO16336 | 신기술과 신제품개발프로세스에 통계적 방법 및 관련 방법 적용 ― 파라미터 강건설계(RPD) |
2 | KSQISO16355-1 |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통계적 방법 및 관련 방법 적용 ― 제1부: 품질기능전개(QFD)의 일반 원리와 개관 |
3 | KSQISO16355-2 |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통계적 방법 및 관련 방법 적용 ? 제2부: 고객 및 이해관계자의 소리 수집을 위한 비정량적 접근법 |
4 | KSQISO16355-3 |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통계적 방법 및 관련 방법 적용 ? 제3부: 고객 및 이해관계자의 소리 수집을 위한 정량적 접근법 |
5 | KSQISO16355-4 |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통계적 방법 및 관련 방법 적용 ? 제4부: 고객 및 이해관계자의 소리에 대한 비정량적 및 정량적 분석 |
ISO TC334 (표준물질위원회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AISO/TR79 | 표준물질 ― 정성적 특성에 대한 표준물질의 예 |
2 | KSAISO/TR10989 | 표준물질 ― 표준물질(RM) 분류의 지침과 사용되는 핵심단어 |
3 | KSAISO/TR11773 | 표준물질의 글로벌 유통 |
4 | KSAISO/TR16476 | 표준물질 ― 표준물질 설정값의 측정소급성 확립 및 표현 |
5 | KSAISOGUIDE30 | 표준물질 ― 관련 용어와 정의 |
6 | KSAISOGUIDE31 | 표준물질 ― 인증서, 라벨 및 첨부 문서의 내용 |
7 | KSAISOGUIDE33 | 표준물질 ― 표준물질 사용 사례 |
8 | KSAISOGUIDE35 | 표준물질 ― 균질성 및 안정성의 평가와 특성화에 관한 가이던스 |
9 | KSAISOGUIDE80 | 품질관리물질(QCM)의 자체 제조에 관한 지침 |
OIML TC6 (정량표시상품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A50087 | 정량표시상품의 정량검사 스킴 |
ISO CASCO (적합성평가위원회)
순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
1 | KSQISOIEC17000 | 적합성평가 ― 용어 및 일반원칙 |
2 | KSQISOIEC17007 | 적합성평가 ― 적합성평가용 규범문서의 작성 지침 |
3 | KSQISOIEC17011 | 적합성평가 ― 적합성평가기관 인정기구의 요구사항 |
4 | KSQISOIEC17020 | 검사기관 운영에 대한 일반기준 |
5 | KSQISOIEC17021-1 | 적합성평가 ― 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? 제1부: 요구사항 |
6 | KSQISOIEC17021-2 | 적합성평가 ― 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― 제2부 : 환경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위한 역량 요구사항 |
7 | KSQISOIEC17021-3 | 적합성평가 ― 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? 제3부: 품질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위한 역량 요구사항 |
8 | KSQISOIEC17021-4 | 적합성평가 ― 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? 제4부: 이벤트지속가능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위한 역량 요구사항 |
9 | KSQISOIEC17021-10 | 적합성평가 ― 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? 제10부: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위한 역량 요구사항 |
10 | KSQISOIEC17024 | 적합성평가 ― 자격인증기관에 대한 일반요구사항 |
11 | KSQISOIEC17025 |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|
12 | KSQISOIECTR17026 | 적합성평가 ― 유형제품에 대한 인증스킴의 예 |
13 | KSQISOIEC17029 | 적합성평가 ― 유효성확인 및 검증 기관에 대한 일반 원칙과 요구사항 |
14 | KSQISOIEC17030 | 적합성평가 ― 제3자 적합성마크에 대한 일반요구사항 |
15 | KSAISO17034 | 표준물질 생산기관의 역량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|
16 | KSQISOIEC17040 | 적합성 평가 ― 적합성평가기관 및 인정기관의 동등성 평가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|
17 | KSQISOIEC17043 | 적합성평가 ― 숙련도시험 일반 요구사항 |
18 | KSQISOIEC17050-1 | 적합성평가 ― 공급자 적합성 선언, 제1부: 일반 요구사항적합성평가 - 숙련도시험 일반 요구사항 |
19 | KSQISOIEC17050-2 | 적합성평가 ― 공급자 적합성선언, 제2부: 지원문서 |
20 | KSQISOIEC17065 | 적합성 평가 ― 제품, 프로세스 및 서비스 인증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|
21 | KSAISOIECGUIDE 7 | 적합성 평가 용도에 맞는 초안 작성을 위한 지침 |
22 | KSAISOIECGUIDE 28 | 적합성평가 ― 제3자 제품인증시스템에 대한 지침 |
23 | KSAISOIECGUIDE53 | 적합성 평가 ― 조직의 제품인증 품질경영시스템 활용 지침 |
24 | KSQISOIEC17067 | 적합성평가 ― 제품인증의 기본사항 및 제품인증스킴에 대한 지침 |
25 | KSQISOIEC17060 | 적합성평가 ― 모범관행규약 |
26 | KSPISO15189 | 메디컬시험기관 ― 품질 및 적격성에 대한 요구사항 |
27 | KSPISO15195 | 메디컬 시험기관 ― 기준측정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|
28 | KSPISO22870 | 현장검사(POCT) ― 품질 및 자격 요구사항 |
29 | KSPISOTR22869 | 메디컬시험기관 ― KS P ISO 15189:2006 검사실 이행지침 |
해당 KS 표준은 'e나라표준인증' 사이트의 '표준 검색'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.
표준 검색 바로가기관련 국제표준 개발현황은 '국제표준화기구(ISO)' 사이트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ISO TC 바로가기